미제스와이어
본문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저자
역자
메인메뉴
미제스에세이
Issue Fighting
교육
on-line 교육
off-line 교육
About
오스트리아학파의 4대 거장
설립취지
사업계획
비전
운영위원
커뮤니티
공지사항
행사
게재예정 에세이
Contact
메일링서비스
메인 최신글
미제스에세이
당신 아이는 이미 공산주의자이고, 대학은 그걸 더 악화시킬 것이다
2025.01.14ㆍ
Mark Thornton
(
김행범
역)
현대 미국 문화의 핵심은 국가주의이다. 전형적인 학교 커리큘럼은 학생들에게 자본주의는 사악하고 사회주의는 선하다고 가르친다. 대학에 가면 이는 더욱 심해질 뿐이다.
1
로스바드의 국제 관계론과 국가이론
2025.01.07ㆍ
Ryan McMaken
(
이종선
역)
국제질서에 관한 로스바드의 견해는 국가가 이기적인 지배 계급에 의해 운영되는 강압적 기관이라는 그의 일관된 생각에 기초하고 있다.
1
누가 자유주의를 죽였는가? 월터 리프먼-미제스 콜로키엄을 상기하며
2024.12.31ㆍ
Adrian Shephard
(
황수연
역)
1938년 유럽이 충돌로 향할 때, 많은 경제학자와 그 밖의 지식인이 파리에 모여 자유주의를 부활하려고 노력했다. 루트비히 폰 미제스도 역시 자유방임과 자유 시장 경제를 옹호하는 외로운 목소리로서 거기에 있었다.
1
인간행동학적 윤리학이란 것이 있을까?
2024.12.24ㆍ
David Gordon
(
박종운
역)
D. 고든(D. Gordon)이 J.W. 리치(J.W. Rich)의 신간 『인간행동학적 윤리학: 윤리학의 본질과 기초에 대한 탐구』를 리뷰하면서 이 책으로부터 유용한 여러 시사점을 찾는다.
1
전기차 타라고 강제하는 프랑스 정부
2024.12.17ㆍ
Alexis Sémanne
(
권혁철
역)
미국처럼 유럽에서도 전기차 수요는 충분치 않다. 그럼에도 프랑스 정부는 더 많은 전기차 판매를 강요하고 싶어 한다.
1
조지 오웰의 복잡한 유산
2024.12.03ㆍ
Allen Gindler
(
김행범
역)
우리 대부분은 조지 오웰이 전체주의를 강력히 비판한 것으로 알고 있다. 그러나 그가 헌신적인 사회주의자이자 공산주의자인 레온 트로츠키(Leon Trotsky)의 평생 옹호자였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거의 없다. 그는 전체주의를 이해했지만 사회주의는 결코 이해하지 못했다.
1
도널드 트럼프의 미국 우파 “장악” 배경
2024.11.26ㆍ
Connor O’Keeffe
(
이종선
역)
도널드 트럼프가 당선된 후 행정부 구성을 두고 우파 사이의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언론은 이를 원칙적 보수주의자와 트럼프에 대한 개인적 충성심이라는 비이데올로기적 운동 사이의 대립으로 묘사한다. 그러나 이 내전은 훨씬 더 오래된 이야기의 최신 장일 뿐이다.
1
경제학 교육을 도로 찾기
2024.11.19ㆍ
Thomas J. DiLorenzo
(
황수연
역)
≪젊은 경제학자를 위한 교훈들(Lessons for the Young Economist)≫ 비디오 시리즈는 공립 학교 경제학 교육에 대한 해독제이다.
2
미제스(1881~1973)는 누구인가?
“문제는 언제나 똑같다: 정부이냐 아니면 시장이냐 뿐이다. 제3의 해결은 없다.”
미제스(Ludwig Heinrich Edler von Mises)는 1881년 9월 29일 당시 오스트리아 영토였던 갈리치아(Galicia)의 렘베르그(Lemberg)에서 태어났다.
나치 정권을 피해 미국으로 간 미제스는 20년 넘는 기간을 통해 오스트리아학파의 영감을 미국에 불어 넣었다.
미제스는 인간은 목적지향적으로 행동한다는 공리를 바탕으로 경제학을 융합적이고 연역적인 과학으로 발전시켰다.
미제스는 정부의 정책은 개인의 사유재산을 보호하는 데에만 엄격하게 제한되어야 한다고 했다.
하이에크(1899~1992)는 누구인가?
“물질적 지위의 평등 요구는 전체주의 정부에서나 가능한 일이다.”
하이에크(Friedrich A. von Hayek, 1899-1992)는 오스트리아에서 태어나 영국, 미국 및 독일에서 활약했다.
하이에크는 인류 문명의 원천은 자유라고 주장하는 진화적 합리주의 전통의 자유주의의 이론가였다.
1974년 화폐와 경기 변동에 대한 선구적 연구 및 제도의 상호의존성을 분석한 공로로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다.
사회주의 및 전체주의를 비판하고, 케인스의 이론에 대항하여 자유시장 경제 체제를 옹호하였다.
그는 좁은 의미의 경제학에만 머무르지 않고 법ㆍ정치ㆍ사회철학ㆍ심리학에 이르는 폭넓은 지적 활동을 보여주었고 그것이 곧 경제학이라고 보았다.
멩거(1840~1921)는 누구인가?
“모든 것은 인과의 법칙에 지배받는다. 이 위대한 원칙에는 어떤 예외도 없다.”
멩거(Carl Menger)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갈리시아(Galicia)에서 태어났다.
1871년 출간한 그의 『경제학 원리(Principles of Economics)』는 오스트리아학파 발전의 원동력이 되었다.
멩거는 마르크스의 노동 이론을 공격하면서 가치는 주관적 개념임을 보여주었고, 경제적 선택의 설명으로서 한계효용의 개념을 개발했다. 이것은 경제학의 혁명이었다.
멩거는 사회과학의 법칙들은 인간 행동의 원리들로부터 연역될 수 있다고 하여 격렬한 방법논쟁을 촉발했다.
멩거는 화폐는 자생적으로 형성되며 여기에 정부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고 했다.
뵘바베르크(1851~1914)는 누구인가?
“노동자는 자신의 몫을 자본의 희생으로 증가시킬 수 없다.”
뵘바베르크(Eugen von Böhm-Bawerk)는 1851년 2월 12일 지금의 브르노(Bruno)인 브륀(Brün)에서 태어났다.
멩거(Carl Menger)의 ‘경제학 원리(Principles of Economics)’는 그의 경제학 세계에 결정적 영향을 미쳤다.
뵘바베르크의 ‘자본과 이자(Capital and Interest)’는 현대 경제이론에 가장 뛰어난 기여를 한 책들 중의 하나이다.
이 책을 통해 자본가는 노동자를 착취한다는 마르크스의 이론을 신랄하게 비판했으며, 생산 개념에 시간을 도입하여 이자 개념을 규명했다.
오스트리안 경제학이 자본 이론에 관한 한 어떤 이론들보다 탁월한 것은 그의 공로이다.
공지사항
비영리 사단법인 미제스와이어
미제스에세이를 펜앤드마이크에서도 읽을 수 있습니다.
Mises Institute 한국어판 개설
인기 미제스에세이
전기차 타라고 강제하는 프랑스 정부
당신 아이는 이미 공산주의자이고, 대학은 그걸 더 악화시킬 것이다
인간행동학적 윤리학이란 것이 있을까?
누가 자유주의를 죽였는가? 월터 리프먼-미제스 콜로키엄을 상기하며
로스바드의 국제 관계론과 국가이론
Contact
miseskr@naver.com
Copyright © 2025 미제스와이어.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