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善)한 의도의 결과 > 미제스에세이

본문 바로가기
미제스에세이
  • 전체보기

선(善)한 의도의 결과

페이지 정보

작성자 운영자 작성일24-06-11 07:31 조회975회 댓글1건

본문

선(善)한 의도의 결과

Zachary Yost & Matthew Bryant, 2024. 04. 05 (이종선 옮김)



6b44374e2eeed2d23a6ae5aa2e82788f_1718058482_789.jpg

가자 지구에서 진행 중인 전쟁과 홍해에서 서방 선박에 대한 후티 반군의 공격 사이에, 언론은 콘텐츠 공장에 대한 소름 끼치는 외교 정책 사료를 많이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 보도는 우크라이나에서 진행 중인 갈등을 희생시키면서 이루어졌으며, 이는 행복감에 찬 명분에서 이제는 옷장에 밀어 넣고 수십 년 동안 비용이 많이 드는 미국의 다른 모든 외교 정책 재앙과 마찬가지로 잊혀지는 부끄러운 재앙으로 빠르게 변했다.


최근 몇 주, 몇 달 동안 우크라이나에서 진행되고 있는 전쟁에 대한 보도 분위기가 바뀌었다. 한때 러시아의 진격은 우연으로 취급되었고 우크라이나의 성공은 필연적인 승리의 전조로 여겨졌다. 그러나 이제 분위기는 우크라이나의 전망과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서방의 목표 달성에 대해 보다 더 비관적인 시각으로 확실히 바뀌었다. 우리는 이전 글에서 시간이 우크라이나의 편이 아니라고 썼다. 이제 주류 언론도 같은 결론을 내리기 시작한 것 같다.


이전에는 우크라이나가 러시아를 상대로 완전한 승리를 거두지 못할 것이라는 제안은 크렘린궁의 앞잡이로서 비판과 악의적인 비난의 함성으로 맞아들여졌다. 그러나 주류 언론은 꽤 오랫동안 벽에 붙어 있던 글을 공개적으로 인정하기 시작했다.


전쟁이 시작될 무렵, 러시아군은 노바야 로시야(Novaya Rossiya)의 거의 모든 지역을 점령하고 키이우(Kiev)를 압박하고 있었다. 이러한 공세가 계속되는 가운데 우크라이나 대표단은 터키에서 러시아 측과 만나 분쟁 종식 가능성을 논의했다. 미국은 러시아 정부가 NATO의 보급력과 우크라이나의 무력에 맞서 계속되는 전쟁에서 살아남지 못할 것이라는 생각에 기대를 걸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러시아가 제재 압력에 굴복할 가능성이 얼마나 되는지에 달려있다.


전쟁 초기 러시아 정부의 행동으로 볼 때 러시아는 나머지 지역으로 계속 날뛰는 것은 고사하고 합병을 위해 우크라이나를 침공하고 정복할 의도가 없었다는 주장이 설득력 있게 제기되었다. 오히려 그 침공의 목표는 힘을 과시하고 우크라이나가 나토에 가입하지 못하도록 신속하게 압박하고 우크라이나에 거주하는 러시아 국민의 이익을 확보하는 것이었다. 2022년 3월에 협상이 실패한 후에, 그들은 더 많은 러시아어 사용자와 러시아 민족이 포함된 전략적 중요 지역을 병합하는 더 직접적인 목표로 나아갔다는 주장이 있다. 우크라이나 역사 대부분에서 이러한 남부 및 동부 지역은 우크라이나 정부 내에서 친러시아 정서의 주춧돌을 형성했다. 그러나 전쟁은 이러한 태도를 다양한 방식으로 바꾸었다. 전투를 앞두고 러시아가 전쟁 초기 몇 달 동안 할당한 거의 13만 명의 병력은 그것이 목표라고 할지라도 나라 전체를 평정하는 데 충분하지 않았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그러나 현재 명백히 드러난 것처럼, 미국과 영국은 이러한 협상을 무효로 만들었으며, 우크라이나는 후에 그러한 후회스러운 결과를 수락하고 크림반도의 재획득을 포함하여 총승리 이외의 어떠한 것도 허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선언했다. 이에 대한 반응으로, 러시아는 전쟁에서 승리하기 위해 우크라이나를 무력으로 효과적으로 무력화해야 한다는 것을 인식하고, 영토를 병합하여 이를 러시아 본토에 편입하기 시작했으며, 배후의 선박을 효과적으로 불태우고 장기적으로 분쟁에 투자할 수 있도록 했다.


전쟁 초기에 우크라이나는 당시 소모전을 치를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았던 과도하게 늘어난 러시아군을 상대로 성공을 거둘 수 있었다. 이는 결국 러시아군을 붕괴시키고 잠재적으로 푸틴 정부를 붕괴시킬 수 있는 우크라이나의 추가 돌파구에 대한 환상을 불러일으켰다. 그러나 이러한 우크라이나의 승리는 잘 준비되고 요새화된 러시아 진지에 대한 것이 결코 아니었다. 반격 실패에서 알 수 있듯이 우크라이나는 지금까지 대등한 상황에서 러시아군을 상대로 성과를 내지 못했다.


그 반격 이후 1년 동안 상황은 예측하기 어렵지 않은 방식으로 우크라이나에 불리하게 돌아섰다. 미국과 서방은 우크라이나군의 반격을 위해 총신의 바닥을 긁어모았지만, 결과적으로는 인력을 소진하는 것 외에 아무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한 전직 미국 관리의 말을 인용하면, “우리는 반격을 위해 이 강철의 산맥을 쌓았다. 우리는 그것을 다시 할 수 없다. 그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NATO의 최고 고위 군사 관리인 로브 바우어(Rob Bauer) 제독의 말대로 “이제 총신의 바닥이 보인다.” 저자들이 앞서 지적했듯이, 서방은 우크라이나에서 현대판 소모전을 벌일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


서방의 재고는 이미 공급 부족과 생산 부족에 직면해 있었지만, 가자 지구의 전쟁 발발로 인해 우크라이나에 배정된 탄약이 이스라엘로 향하는 등 추가적인 압력이 가해지고 있다. 더욱이 이 글을 쓰는 시점에도 의회는 크리스마스 휴가에서 돌아온 후에도 우크라이나에 대한 추가 자금 지원을 통과시키지 못했다. 이는 우크라이나가 희망하는 미국의 군사 원조를 거의 받지 못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나머지 국가 기구의 기능을 지속하기 위한 자금이 급속히 고갈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소방관에서 연금에 이르기까지 미국의 원조로 지불된 모든 것이 이제 고갈되어 버렸다.


가자 전쟁은 한정된 미국 자원을 놓고 경쟁하는 유일한 분쟁이 아니다. 친이란 무장 단체의 공격으로 인한 중동의 추가 긴장 고조, 예멘 후티 반군의 홍해 선박에 대한 해적 스타일의 테러 공격, 한반도의 군사적 긴장 고조, 미국의 뒷마당에서 베네수엘라의 가이아나 침공 가능성 등 수많은 잠재적 위기가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다. 미국과 중국의 강대국 경쟁이 심화하고 있으며, 그 갈등이 수반하는 대만을 둘러싼 잠재적으로 파괴적인 갈등도 있다는 점을 빼놓을 수 없다. 이렇듯 많은 혼란 속에서 트위터 활동가들은 자신들의 약력에 국기 이모티콘을 넣을 공간을 잃어가도 있다.



내부 분열


한편, 우크라이나에 대한 유럽의 호의는 무너지고 있다. 어쩌면 미국의 원조 패키지가 교착 상태에 빠진 것보다 더 주목할 만한 것은 폴란드와 우크라이나 사이의 관계가 붕괴되었다는 것인데, 폴란드 대통령은 우크라이나를 구조자를 끌어내릴 위험이 있는 익사자에 비유했다. 폴란드 트럭 운전사들은 우크라이나 곡물 수출로 인해 사업이 위축되는 것을 막기 위해 국경에서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또한, 최근 유럽 선거에서 우크라이나에 대한 추가 지원에 반대하는 정당과 지도자에 대한 지지가 증가했으며, 특히 슬로바키아의 로베르트 피코(Robert Fico)가 총리로 선출되고, 네덜란드의 기어트 빌더르스(Geert Wilders)가 예상치 못한 선거 승리를 거두었다.


점점 더 심각해지는 우크라이나 상황은 이제 공개적으로 반목하기 시작한 지도부에 대한 것이다. <타임지>에 따르면, 젤렌스키(Zelensky) 최측근 중 한 명은 2014년 이전의 국경을 탈환하겠다는 이야기에 대해 “그는 스스로를 속이고 있다”고 말했고, 또 다른 보좌관은 부패가 줄어들지 않고 있으며 “사람들은 내일이 없는 듯이 도둑질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12월 초, 전 우크라이나 대통령이자 젤렌스키 라이벌인 페트로 포로센코(Petro Poroshenko)의 서류가 취소되었고, 그는 외국의 지도자를 만나기 위해 출국하는 것이 금지되었다. 또 다른 경쟁자인 비탈리 클리치코(Vitali Klitschko) 키이우 시장은 젤렌스키가 권위주의자로 변해 “어느 시점에서 우리는 더 이상 모든 것이 한 사람의 변덕에 의존하는 러시아와 다르지 않을 것”일 정도로 권력을 집중시키고 있다고 비난했다.


또한 젤렌스키와 당시에 우크라이나군 총사령관이었던 잘루즈니(Zaluzhny) 사이에 대중의 눈에 띄는 소문의 균열이 우려되고 있다. 이것은 전쟁 상태에 대한 그들의 서로 다른 평가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2023년 11월 1일 <이코노미스트>가 발표한 인터뷰에서 잘루즈니는 전쟁이 교착 상태에 빠졌다고 말했다. 젤렌스키는 여름 반격이 아무런 성과를 달성하지 못한 비참한 실패임에도 불구하고 이것은 사실이 아니라고 신속하게 주장했다.


며칠 후인 2023년 11월 7일, 잘루즈니의 보좌관 중 한 명이 흔치 않은 상황에서 살해당했다. 그는 아들과 함께 생일 선물을 열다가 수류탄이 터진 것이다.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에 대한 여러 설명이 있지만, 영국의 공영방송인 BBC는 “폭발의 공식 원인은 우크라이나 평론가들에 의해 의문시되고 있으며, 그들 중 일부는 잘루즈니가 보좌관의 생일 축하 행사에 참석했을 수 있다는 가정하에 잘루즈니를 겨냥한 공격이 아닌지 추측했다”고 지적했다.


추측은 제쳐두고, 우크라이나 언론은 젤렌스키가 잘루즈니의 잠재적인 정치적 야망을 의심하고 있으며, 군부에 정치적 임명을 하는 것 외에도 그의 충성파를 피하고 대신 자신에게 충성하는 사람들을 다루기 위해 지휘 계통에서 잘루즈니를 우회하고 있다고 보도한다. 정부 내의 이러한 비관론은 젤렌스키 자신에게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이며, 그는 “끝이 보이지 않는다”고 비판적인 러시아 매체인 <모스크바 타임스>에 인용되었다. 또한 그는 최대 50만 명까지 병력을 동원하라는 군부의 요청을 거절하고 있으며, 이는 이미 불안정한 그의 지위를 유지하기가 더욱 어렵게 만들 것이 분명하다. 이 글을 쓰는 시점에서 젤렌스키와 잘루즈니 사이의 오랜 불화는 후자의 해고로 이어졌다. 잘루즈니는 우크라이나에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공무원 중 한 명으로 평가되는데, 이번 사태가 젤렌스키 정부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시간이 말해 줄 것이다.



예측할 수 없는 미래


2016년 6월 8일, 존 미어샤이머(John Mearsheimer)는 대서양 위원회(Atlantic Council)에서 NATO 확대와 러시아를 주제로 한 토론회에 참석하여 “이러한 정책들(NATO 확장과 통합)은 우크라이나인들과 조지아인들을 어려움에 빠트리는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라고 주장하면서 “왜냐하면 우리는 한편으로는 러시아를 도발하고 여러 가지 문제를 초래하여 그들이 조지아와 우크라이나에 피해를 입히게 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서방이 그들을 구하러 올 것이라는 생각을 주는 것은 미국을 너무 많이 믿는 것”이라고 경고했다.


2022년 3월 초에 결렬된 협상은 우크라이나가 일부 주권을 유지하며 살아남을 수 있음을 제공했다. 이제 러시아는 민스크 III 협정을 받아들일 의향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 노바야 로시야 지역을 합병함으로써 그들은 이 투쟁이 완전한 승리 중 하나가 될 것이라는 신호를 보내고 있다. 세르게이 쇼이구(Sergei Shoigu) 장관과 같은 러시아 정부 각료들은 전쟁이 적어도 2025년까지 계획되어 있다고 밝혔다. 더욱이 최근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 거점인 아브디이우카(Avdiivka) 주변에서 승리를 거두면서 우크라이나가 전선을 따라 가장 요새화된 일부 도시에서도 러시아군의 진격을 성공적으로 막아낼 수 있을지에 대한 의구심이 커지고 있다.


미어샤이머와 같은 평론가와 학자들은 서방이 결국 우크라이나를 방치하거나 내버려 둘 것이라고 오랫동안 경고해 왔지만 수년 동안 무시되었다. 그러나 점점 더 그러한 경고는 선견지명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일부 우크라이나인들은 이 냉혹한 현실에 눈을 떴다. 전 우크라이나 대통령 고문이자 현재 젤렌스키 라이벌인 올렉시 아레스토비치(Oleksii Arestovych)는 최근 “세계주의자와 현실주의자의 갈등에서 우리가 잘못된 쪽에 배팅했다. 우리는 패배한 진영에서 끝내기 위해 피를 흘렸다”라고 언급했다. 바라건대, 수용이 가능한 타협안을 도출하고 평화의 외형을 구축하기에 너무 늦지 않기를 바라지만, 이는 우크라이나가 지지할 수 없는 입장의 현실을 받아들이는 것을 의미한다.



글쓴이) Zack Yost & Matthew Bryant

● 잭 요스트는 프리랜서 작가이자 존 퀸시 애덤스 소사이어티(John Quincy Adams Society)의 2021년 가을 마르셀루스 정책 펠로우(Marcellus Policy Fellow)이다. 그는 <National Interest>, <Washington Times>, <The American Conservative> 등 다양한 매체에 글을 기고하고 있다. 그는 미제스 연구소(Mises Institute)의 월간 외교 정책 팟캐스트인 ‘전쟁, 경제, 그리고 국가(War, Economy, and State)’의 공동 진행자이며, 그의 서브스택 ‘더 요스트 포스트(The Yost Post)’의 기고자이다.

● 매튜 브라이언트는 조지메이슨대학교(George Mason University)에서 국제학(Global Affairs) 학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현재 트렌토대학교(University of Trento) 및 고등경제학교(Higher School of Economics)의 공동 대학원생이다. 그의 연구 관심 분야는 소련 붕괴 이후 지역과 미국-러시아 관계이다.


옮긴이) 이종선 (인제대학교 명예교수, 정치학)


원문) https://mises.org/power-market/consequences-good-intentions



미제스에세이와 각종 안내를 정기적으로 받고자 하시는 분은 메일링서비스를 신청해주세요.

댓글목록

김도헌님의 댓글

김도헌 작성일

우크라이나 아일랜드처럼 하라.
1.먼저 우크라이나는 러시아와 종전 협정을 체결하라.
2.그리고 아일랜드처럼 국가를 우선 경제적으로 부흥시켜라.
3.아일랜드처럼 평화협정후에 러시아 테러로 빼앗긴 땅을 되찾으라.
4.무엇보다도. 우크라이나의 부정부패를 없애라.
5.박정희 대통령처럼 경제개발 5년 계획으로 우크라이나를 선진국으로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6.우크라이나는 미제스의 고향이다.
7.렘베르그시가 미제스가 태어난 고향이기 때문이다.
8.평화를 되찾은 후에 경제를 한국과 협력해서 발전 시킨후에
러시아 사람들이 저절로 고개를 숙이고 찾아올수 있게 하라.
9.나토와 미국에 의존하지 말라.스스로 일어나라.
10.우크라이나인들 스스로 아일랜드처럼 기업하기 좋은 국ㅈ가를 만들고 전쟁을 끝내고 경제전쟁으로 러시아를 이겨라.
11.물리적으로 전쟁을 해봤자 우크라이나는 손해라는 생각을 해야 한다.
12.그 누구도 우크라이나를 돕지 않는다.
13.스스로 경제발전과 방위산업들로 국가를 초일류로. 만들어라.
김도헌 올림.

  • Contact